정부가 5060 베이비붐세대를 겨냥한 고령자 고용 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중장년 구직자들이 취업박람회에서 구인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시니어신문=김지선 기자] 한국전쟁 직후 태어난 이른바 베이비붐세대가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노년층에 진입하고 있다베이비붐세대는 전 세계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사회경제적 재건기에 태어난 이들을 말한다우리나라 베이비붐세대는 1955~1963년 태어난 이들을 말한다.

10여년 전부터 고령화를 논의할 때 항상 베이비붐세대의 은퇴고령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이제 올해부터 베이비붐세대의 은퇴와 노년층 진입이 본격적으로 막이 오른다는 점에서 인구정책과 복지정책에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우리나라 베이비붐세대의 상징인 ‘58년 개띠’ 78만명이 올해 62세가 되면서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한다베이비부머의 맏이 격인 1955년생 66만명은 올해 기초연금 수급연령이자 노인인구로 포함되는 65세에 진입한다베이비붐세대의 고령화 영향으로 앞으로 10년 동안 해마다 70~80만명의 노인인구가 쏟아지지만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일자리 정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이런 상황에서 기초연금이나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만으로 이들의 노후를 어떻게 케어 할 것인지급증하는 전체 노인인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상당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베이비붐세대, 한국전쟁 직후 태어난 1955~1963년생

베이비붐세대는 일반적으로 출산율이 높은 시기에 태어난 세대를 말할 때 주로 쓰는 표현이다대체로 전쟁 직후 사회경제적 안정이 정착되는 시기에 출산율이 크게 늘어나면서 베이비붐세대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직후 태어난 1955~1963년생을 말하고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6~1964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을 말한다일본은 1947~1949년 사이에 태어난 이들을 단카이세대라고 말한다.

우리나라의 베이비붐세대는 한국전쟁 이후 출산율이 급증한 1955년부터 산아제한정책 도입을 통해 눈에 띄게 출산율이 둔화되는 시점963년까지 9년 동안 출생한 세대를 말한다인구규모는 2010년 기준 약 713만명 정도로 추정되고전체 인구 중 14.6%를 차지하고 있다.

베이비붐세대 한 해 수십만명씩 노인인구 편입

최근 베이비붐세대가 큰 이슈가 된 원인은 이들이 본격적으로 노인복지의 영역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다이들 세대의 맏이 격인 1955년생 663000여명이 2020년 만65세가 돼 본격적으로 노인인구에 편입되고, 1958년생 784000여명이 만62세로 새롭게 국민연금 수급연령이 된다.

우선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건강한 이들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재취업이나 고용에서 상당한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국민연금이나 기초연금과 같은 노인복지 영역에서 재정부담도 눈덩이처럼 불어난다정부부처로 보면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가 책임져야 할 일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베이비붐세대는 부모세대인 현 노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력이 높고건강상태도 노년층이라 할 수 없을 만큼 상당히 건강하다반면한국사회의 고용구조나 개인의 노후준비는 현 노년층이 50~60대였던 시기와 큰 차이가 없는 실정이다.

지속적으로 일하면서 건강하게 여가를 즐기고 싶어하는 베이비붐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면현 노년층과 마찬가지로 국가와 사회가 이들마저 부양해야 한다는 엄청난 짐을 떠안게 된다앞으로 우리 사회가 베이비붐세대와 관련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지속가능한 성장이냐국가적 재앙을 맞느냐 갈림길에 서게 된다.

가장 큰 이슈는 일과 고용

베이비붐세대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일이다재취업은 물론취업이 아니라도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부실한 노인복지와 미비한 노후대비로 이들이 노인빈곤의 수령에 빠져들기 전에 이들의 재취업을 돕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내놓은 보고서 베이비부머 은퇴와 재취업 현황분석에 따르면, 2019년 8월 기준 베이비부머는 723만명고용률은 66.9%(4835,000)에 그쳤다.

2010(75.6%)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낮아지던 이들의 고용률은 2018년 68.3%로 떨어졌다베이비붐세대의 막내 격인 1963년생이 만55세를 넘어서면서 70% 아래로 내려왔다최근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분석 결과60세를 넘으면 4명 중 1명은 은퇴했다.

문제는 은퇴한 베이비부머들이 여전히 일할 의사가 있다는 점이다고용정보원 보고서는 “2014년 은퇴했던 베이비부머 4명 중 1(23.4%)은 2년 뒤 재취업했지만, 10명 중 9(86.6%)이 생계형 일자리였다고 밝혔다은퇴 후 노후대비나 사회적 지원이 턱 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된 경력을 살리지 못하고 생계를 위한 일자리로 나몰리는 상황이다.

재취업 교육 훈련 받아도 갈 곳 마땅치 않아

2019년 4월 개정된 고령자고용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2020년 5월부터 1000명 이상 노동자를 고용한 기업은 이직이나 퇴직예정자에게 재취업지원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1년 이상 재직한 50세 이상 노동자가 정년희망퇴직 등 비자발적인 사유로 이직하는 경우 이직일 직전 3년 이내에 진로 상담‧설계직업 훈련취업 알선 등을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고용노동부는 이번 조치가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고령 인력의 효율적 활용과 이들의 노동 시장 잔류 기간 연장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현실은 녹록치다무엇보다 이들이 아무리 고도화된 재취업 교육과 훈련은 받는다고 해도 갈 곳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연공서열제로 굳어진 이들의 높은 인건비를 비롯해 상대적으로 고령에 의한 생산성 하락 등을 이유로 기업들이 반기지 않기 때문이다.

전경련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가 2019년 40세 이상 중장년 구직자 352명을 대상으로 구직활동 실태조사를 한 결과, 10명 중 7(67.1%)은 임금을 절반이나 깎이고 재취업한 회사에서도 2년도 채우지 못하고 다시 퇴사했다.

1955년생 복지비용 한 해 5~6조원 가량

2020년 법정 노인(65)이 된 1955년생만 하더라도 한 해 5~6조원가량의 복지 비용이 들 것이라는 추정이 나왔다중앙일보가 보건복지부·건강보험공단·국민연금공단·서울시 자료를 토대로 55년생이 쓸 복지 비용을 산출했다국민연금은 62세부터 이미 받고 있고올해부터 기초연금·장기요양보험·진료비 할인·무료 지하철 등의 혜택을 보기 시작한다.

일례로, 1955년생 71만명 가운데 대략 30만명이 기초연금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생일이 든 달부터 받기 때문에 올해는 4400억원 가량 든다내년부터 온전히 1년 치를 받는데, 1조원 가량 든다지방자치단체가 22%를 별도로 부담하는데이것까지 포함하면 약 13000억원에 달한다가장 큰돈이 들어가는 국민연금에는 연간 2조원 넘게 들어간다. 1955년생은 지난해 150만 건의 의료서비스를 이용했다건강보험에서 18000억원(자기부담금 제외)을 썼다.

전문가들은 현재도 14%의 노인인구가 건보 지출액의 40%를 쓰고 있는데, 1955년생이 75세가 되는 10년 뒤엔 이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베이비붐세대 노후자산 확보 제도적 기반 마련해야

국내 한 투자사 은퇴연구소(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우선 베이비붐세대가 노후자산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줘야 한다고 강조한다노후에 발생하는 문제 대부분은 생계비를 비롯한 가처분소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소는 우선주택연금을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정부가 2020년 주택연금 가입연령을 현행 60(부부 중 한 사람 기준)에서 55세로 낮췄다하지만 일찍 받으면 연금액이 줄어들기 때문에 금융자산 보유 규모를 따져 수령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두 번째로퇴직을 앞둔 직장인의 경우 퇴직연금을 중도 또는 일시 인출하지말고연금으로 받을 것을 권장한다예를 들어, 2억원을 퇴직급여를 받을 경우 연간 1000만원씩 20년간 연금으로 받는 방법이다연금방식으로 수령할 경우 올해부터 연금소득세도 줄어든다.

마지막으로 창업보다 적은 금액이라도 월급을 선택해야 한다창업시장에서는 신규 창업자 10명 중 9명이 폐업하는 것이 정설이다퇴직금이나 은퇴자금을 창업에 올인하는 경우 위험성은 더 커진다대부분의 전문가들이 퇴직창업을 말리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