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뉴스 서비스의 고질적인 폐해로 지목되고 있는 네이버, 다음 등 포털의 뉴스서비스에 대한 정책변화를 시도한다. 사진은 '다음'의 메인페이지.

[시니어신문=이길상 기자] 정부가 뉴스를 장악하고 있는 네이버, 다음 등 포털 뉴스서비스에 대한 정책변화를 시도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포털뉴스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이하 협의체)를 구성해 첫 논의를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협의체는 포털 중심의 뉴스 서비스 생태계를 공정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미디어 플랫폼의 신뢰성과 투명성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미디어·법학 등 관련분야 전문가와 관계부처로 구성해 6개월간 운영한다.

2000년 전후 출시된 포털의 뉴스 서비스는 언론사 제휴를 통해 기사를 제공 받고 언론사 구독 혹은 추천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에게 기사를 노출하는 구조다. 포털 내에서 손쉽게 다수의 언론사 뉴스를 볼 수 있다는 편의성으로 지난해 기준 포털 뉴스 이용률은 무려 79.2%에 달한다.

이러한 포털 중심의 언론 생태계는 긍정적 기능도 있으나 뉴스 서비스 제공 방식의 문제, 확증 편향 등 뉴스 소비의 문제 등이 제기됐다. 또 이용자의 편리함과 권익을 보장하면서도 균형 잡힌 여론 형성을 위한 정책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이에 뉴스 추천 알고리즘으로 인한 기사 배열의 책임성·신뢰성 및 포털의 뉴스 서비스 제공 방식·절차의 투명성을 높이는 내용이 담긴 ‘미디어 플랫폼의 신뢰성·투명성 강화’가 새 정부 국정과제로 선정된 바 있다.

방통위는 국정과제의 구체적인 이행을 위해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의 구성·운영에 관한 투명화 방안, 확증 편향을 유발하는 알고리즘 추천 등의 개선 방안을 논의해 포털이 본연의 기능인 뉴스 매개자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뉴스 서비스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협의체는 전문가의 논의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해 관련 업계·이용자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도 수렴할 예정이다.

안형환 방통위 부위원장은 이날 출범식에서 “이용자의 편의성 등 포털 뉴스의 긍정적 기능을 살리되 포털이 뉴스 매개자라는 본연의 역할을 다해 균형적인 여론을 형성하고, 건전한 언론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