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신문=장한형 기자] 2000년대 말부터 귀농귀촌가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2001년 880가구에 불과하던 귀농귀촌가구는 2014년 4만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영농을 목적으로 한 귀농의 경우 2011년 이후 1만 가구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12년부터 별도로 조사되는 귀촌자의 경우 2012년 1만5788가구에서 2020년 34만5205가구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실시한 귀농귀촌 실태조사를 통해 귀농귀촌인들이 겪은 어려움과 조언을 들어봅니다.
어떤 사람들이 귀농귀촌하나?
귀농귀촌 인구에서 젊은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농업과 농촌의 혁신인재로서의 가능성을 전망케 하고 있다.
연령별로 봤을 때, 40대 이하 젊은 귀농귀촌 인구증가율은 43.0%로, 전체 귀농귀촌 인구증가율(37.5%)보다 높아 귀농귀촌은 베이비부머 이외의 세대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40대 이하 귀농귀촌가구는 2001년 647가구에서 2014년 1만7611가구로 급속히 늘어났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0년 기준, 50대가 32.1%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농가경영주 가운데 60대 이상이 60%를 넘었지만, 귀농귀촌인 중에는 60대 이상이 28.3%였다. 이어 40대 22.1%, 30대 이하 17.4%였다.
귀농귀촌인들의 학력별로는 대졸이 45.2%로 절반 가량을 차지했고, 고졸 27.8%, 전문대졸11.9%, 대학원 이상 10.9% 순이었다.
귀농귀촌인들의 이전 직업도 다양했다. 직업분류상으로는 자영업자(25.8%)가 가장 많았고, 사무직(18.3%), 행정·경영·관리자(11.7%), 기능직(9.8%) 등의 순이었다.
상당수는 관련 전문자격과 학위를 갖고 있었다. 석·박사 학위 보유자가 11.7%, 기능사·기사·기술사·기능장 보유자가 31.1%, 교육사·사회복지사·회계사·조리사 등의 자격증 소지자도 21.5%였다.
귀농귀촌 이후 경제 상황은 나아지고 있나?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농촌진흥청 국립 농업과학원이 2014년부터 1000여명의 귀농귀촌인들의 정착실태를 추적 조사하고 있다.
경제활동과 관련, 대다수가 귀농귀촌 이후 소득의 감소를 경험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상황이 나아지고 있었다.
귀농귀촌 이후 소득이 감소했다는 응답이 65%로 가장 많았다. 큰 변화가 없다(21.3%)거나 증가했다(13.8%)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귀농귀촌 시기가 오래될수록 소득 감소를 경험했다는 응답률이 낮아졌다. 크게 감소했다는 응답률은 2008년 이전 귀농귀촌 집단에서는 39.7%였지만, 2009~2010년 집단에서는 38.2%, 2011~2012년 집단에서는 41.0%, 2013년 이후 집단에서는 51.3%로 점차 높아져 시간이 지날수록 경제적인 형편이 개선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귀농귀촌인들의 소득은 얼마나 될까?
역시 귀농귀촌 시기가 오래될수록 가구소득도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간소득이 5000만~7000만원 이라는 응답이 2008년 이주한 집단에서는 13.9%였지만, 2013년 이후 이주한 집단에서는 8.2%로 떨어졌다. 이는 귀농귀촌 연수가 쌓일수록 경제적으로 안정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영농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귀촌자들의 경우도 시간이 지나면서 영농에 종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귀농귀촌 이후 종사하는 주요 경제활동에서 농업에만 전념하는 경우가 40.2%, 농업과 다른 경제활동을 겸업하는 경우 35.8%, 농업 이외 다른 분야의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13.3%, 퇴직 또는 무직 10.6% 등의 순이었다.
그런데, 대체로 귀농귀촌 시기가 오래될수록 농업종사비율이 높아졌다. 농업에만 전념한다는 응답은 2008년 이전 집단에서는 44.5%였지만, 2013년 이후 38.5%로 떨어졌다.
귀촌자들의 주요 경제활동 분야는 농업이 56%로 가장 많았고, 교육, 자가활동, 숙박·음식업, 제조업, 건설, 예술·스포츠, 협회, 단체, 도소매 등의 순이었다.
연간 농산물 판매액 규모를 조사한 결과, 거의 없다는 응답이 18.6%, 500만원 미만 27.9%, 500만~2000만원 미만 26.2%, 2000만~5000만원 17.2%, 5000만원 이상 10.1%였다.
지역사회와는 원만하게 융화되고 있나?
귀농귀촌인들의 지역사회활동 참여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활발해졌다.
지역사회활동 참여 경험을 조사한 결과, 있다는 응답이 66.8%였다. 농민단체, 공익봉사활동 등에 대한 참여는 다소 적은 반면, 마을회의나 행사, 농업인교육, 지역 귀농귀촌인 모임, 친목단체 참여는 활발한 편이었다.
귀농귀촌 시기가 오래될수록 대체로 지역사회활동 참여가 늘어났고, 농업 관련 마을 경제활동, 농민단체 참여도 늘어났다.
마을 내 영농 관련 경제활동과 농민단체에 대한 참여비율은 2008년 이전 귀농귀촌집단은 각각 59.2%, 43.1%였지만, 2011~2012년 집단은 48.8%, 31.7%로 최근 이전한 집단일수록 점차 낮아졌다. 반면, 지역 귀농귀촌인 모임 참여는 각 집단별로 61.3%, 69.3%, 71.2%, 73.2%로 나타나 시간이 지나면서 귀농귀촌인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에 융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자 상당수가 농촌에서 마을의 주요 모임 리더로 활약하고 있는 점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귀농귀촌자 가운데 26%가 부녀회, 청년회, 지도자회, 노인회 등 마을의 주요 모임 간부로 활동하고 있었는데, 귀농귀촌 시기가 오래될수록 리더로 활동하는 경우도 많았다. 귀농귀촌 연차가 3년 이하인 경우 14.3%였지만, 4~10년인 경우 29.1%, 10년 이상일 경우 37.4%가 마을의 주요 모임 간부로 활동하고 있었다.
정착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은 무엇인가?
귀농귀촌자가 농촌 정착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자금문제, 영농기술문제, 농지구입 문제, 생활여건의 불편, 지역주민과의 갈등 등이었다.
정착과정에서 여유자금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46.6%로 가장 많았다. 이는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로, 젊은세대일수록, 귀촌자보다는 귀농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여유 자금 문제를 많이 지적하고 있다.
일자리 부족을 지적하는 경우는 젊은 귀농귀촌자일수록, 귀농자보다는 귀촌자가, 농촌보다는 도시 출신자가 많았다.
정착과정에서 지역주민과의 결등으로 인한 어려움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고향 귀농귀촌자보다는 타향 귀농귀촌자, 도시 출신 귀농귀촌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겪는 어려움이었다.
주거문제와 관련해서는 젊은 귀농귀촌자일수록, 고향보다는 타향 출신, 도시 출신 귀농귀촌자가 많이 어려워했다.
생활여건 불편에서는 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귀농보다는 귀촌한 사람일수록 어려움을 겪었다. 도시 이웃이나 친구들과의 헤어짐으로 인한 외로움 문제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농촌출신자보다는 도시 출신자들이 더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연령과 농촌 이주 목적 별로는, 30~40대 귀농자는 여유자금 부족, 농지구입, 주거문제를 지적했고, 30~40대 귀촌자의 경우 특히 일자리 부족 문제를 어려움으로 지적했다. 반면, 60대 이상 귀촌자는 30~40대와 달리 생활여건 불편, 지역주민과의 갈등, 영농기술 습득의 어려움, 건강과 체력 문제, 외로움 등을 지적하는 경우가 많았다.
경제활동 관련 애로사항은 무엇인가?
경제활동과 관련한 애로사항은 토지확보를 포함한 자금부족을 꼽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일 기회·정보부족, 능력(지식·기술) 부족 등이 뒤를 이었다.
능력·자신감 부족, 신체적 한계 등의 내적인 문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경제활동 장애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젊은 귀농귀촌자일수록 자금부족을 많이 제기했다.
주요 집단별로는 30~40대 귀농가는 자금부족, 기회정보 부족을 애로사항으로 지적했고, 30~40대 귀촌자는 자금부족, 능력부족, 인맥부족 문제를, 60대 이상 귀촌자는 기회정보 부족, 능력부족, 신체적 한계 문제를 지적했다.
능력부족이나 관련 기회, 정보 부족, 인적 네트워크 부족, 자신감 부족 등 대다수 경제활동상의 애로사항은 귀농귀촌 연차가 쌓여가면서 완화되고 있었다.
지역사회활동 관련 애로사항은 무엇인가?
지역사회활동 관련 애로사항으로는 관련 기회·정보 부족을 가장 많이 언급했고, 시간이 없다거나 인맥부족, 마을사람들의 텃세 등을 지적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능력이나 자신감 부족 문제, 신체적 한계, 정보 접근성 문제, 지역주민의 텃세가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지역주민의 텃세는 타지역 출신, 도시 출신자에게 더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했다.
30~40대 귀농자는 상대적으로 시간부족 문제를 꼽았고, 30~40대 귀촌자는 기회정보 부족, 인맥부족, 시간 부족 문제를 애로사항으로 지적한 반면, 60대 이상 귀촌자는 기회정보 부족, 인맥 부족, 지역주민들의 텃세 문제를 지적하고 있었다.
경제활동과 마찬가지로 능력이나 자신감 부족, 기회나 정보부족, 인적 네트워크 부족 등 애로사항 대부분은 귀농귀촌 연차가 쌓일수록 더 낮은 빈도로 지적됐다. 다만, 지역주민의 텃세는 귀농귀촌 연차가 쌓일수록 더 많은 애로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는 점이 특이했다.
정부 지원은 얼마나 도움이 되나?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귀농귀촌자들을 위해 많은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사람들이 준비없이 귀농귀촌을 하거나 각종 지원 프로그램에서 소외되고 있었다.
귀농귀촌 전에 관련 정보 및 지원제도, 생산·경영기술, 농촌생활기술, 토지 및 자금준비, 주민 정서 이해 및 갈등 해결, 농촌에서 자신의 이전 직업 전문성 활용 등 분야별로 준비 정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주민 정서 이해 및 갈등 해결 관련 준비, 정착에 필요한 토지와 자금 준비 등에 비해 농업생산·경영 기술, 농촌생활기술, 농촌에서 자신의 재능 활용, 귀농귀촌지 정보 및 지원제도 등에 대한 준비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귀농귀촌 준비 관련 교육시간은 평균 118.9시간으로 적지 않았지만, 교육을 전혀 받지 않은 경우도 28.9%나 됐다.
20시간 미만도 7.8%, 20~50시간 10.1%, 50~100시간 13.6%, 100~150시간 16.8%, 150시간 이상 22.8% 등이었다.
귀농귀촌과정에서 도움을 받는 대상은 동네이웃(29.6%)이 가장 많았고, 선배 귀농자(23.2%), 마을이장(10.1%), 지역공무원(5.5%) 등의 순이었다. 그밖에 종교단체, 친인척 등에게 도움을 받았다. 하지만, 주변 도움을 받지 않았다는 응답도 27.0%나 됐다.
도시로 돌아가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
귀농귀촌 연차와 더불어 지역주민과의 왕래 및 지역사회 참여가 귀농귀촌자의 도시로의 재이주 의향에 가장 중요한 변수였다.
귀농귀촌자 가운데 도시로 재이주 의향을 조사한 결과, 재이주 의향이 없다는 응답이 72.1%로 나타났다. 아직 모르겠다는 응답이 19.3%, 이주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8.6%였다.
귀농귀촌 시기가 오래될수록 도시 재이주 의향이 전혀 없다는 비율이 점차 높아졌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주 의향이 낮아졌지만 30~40대 귀농귀촌자보다는 60대 이상 귀촌자의 재이주 의향이 높았다. 또한, 농촌 출신자보다는 도시 출신자가 도시 재이주 의향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귀농자보다는 귀촌자에서 도시 재이주 의향이 더 높았다.
귀농귀촌을 최근에 할수록,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주민 왕래가 적고, 지역사회활동 참여가 낮을수록 도시 재이주 의향이 높아졌다. 조사결과, 도시 재이주 의향을 높이는 변수는 귀농귀촌 연수와 주민과의 왕래 빈도, 지역사회 참여 정도였다. 이는 지역사회의 원활한 편입이 농촌 적응에 있어 핵심요인이고, 많은 부분 시행착오를 거쳐 시간이 지나면서 적응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귀농귀촌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귀농귀촌 정착과 관련해서는 경제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귀농귀촌인들이 지역주민과 융화하고 지역사회의 각종 모임 참여를 통해 어떻게 지역사회 일원이 되도록 하느냐가 관건이다.
귀농귀촌인의 도시 재이주 의향 관련 조사에서 알 수 있듯, 지역주민과의 교류,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정착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기존 농촌 주민 내에 형성돼 있는 사회적 관계는 외부인의 입장에서 보면 지역 텃세일 수 있으나, 역으로 귀농귀촌인이 지역사회 구성원이 되는 가장 중요한 관문이라는 지적이다.
한편, 지금까지 귀농귀촌에 대한 지원은 주로 주거, 토지, 운영자금 등과 같은 경제적 지원이 중심을 이뤘고, 귀농귀촌인들의 요구도 이와 관련이 깊었다. 경제적 지원은 표면적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는 있지만, 정착에 있어 애로사항 전반의 문제를 해소하지는 못한다. 애로사항 해소의 실마리는 경제적 자본요인보다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에서 찾아야 한다.
특히, 정착에 필요한 경제적 자본, 일자리나 전문성 개발 기회 등은 농촌 지역사회의 주요 인사와의 원활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거나 관련 조직 참여를 통해 자연스럽게 접근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