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년간 우리의 삶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서울시 야경. 사진=서울시

[시니어신문=이길상 기자]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가 나왔다복지분야는 크게 달라진 게 없다는 응답이 주를 이뤘고노후준비 방법으로 국민연금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단체활동 등 사회참여가 눈에 띄게 줄었지만 코로나19 펜데믹 여파로 분석된다여가문화에서는 여전히 관광이나 여행이 높은 인기를 끌고 있고청소년이 선호하는 직업에서는 과거 공무원에서 대기업으로 변화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통계청 사회조사는 총 10개 부문에 걸쳐 진행되는데, 2년 주기로 매년 5개 부문에 대해 조사한다홀수해는 복지사회참여여가소득과 소비노동에 대해짝수해는 가족교육과 훈련건강범죄와 안전생활환경에 대해 조사한다.

올해 조사는 지난 5복지사회참여여가소득과 소비노동 부문에 대해 전국 약 19000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36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노후소득지원복지분야 숙제

더 늘려야 할 공공시설은 보건의료시설공원·녹지·산책로 순이고복지서비스는 고용(취업)지원소득지원보건의료‧건강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의 노후를 위해 사회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는 노후소득지원의료·요양보호 서비스노후 취업 지원 순으로 응답했다.

10명 중 7명이 노후 준비를 하고 있으며준비 방법은 국민연금이 가장 높았다. 60세 이상 고령자 10명 중 7명은 본인·배우자가 생활비를 마련했다.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생활 여건이 ‘2년 전과 비교해 변화가 없다는 응답이 43.6%로 가장 많고이어 좋아졌다’(31.5%), ‘나빠졌다’(24.9%) 순이었다.

향후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공공시설은 보건의료시설공원·녹지·산책로사회복지시설 등의 순이고복지서비스는 고용(취업)지원 서비스소득지원 서비스보건의료·건강관리 서비스 등의 순이었다.

국민의 노후 생활을 위해 사회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노후 소득지원(38.8%), 의료·요양보호 서비스(25.7%), 노후 취업 지원(22.5%) 순으로 응답했다.

19세 이상 인구 중 67.4%가 노후를 위한 준비를 하고(되어있다고 답했고준비 방법은 국민연금이 5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세 이상 고령자의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배우자 부담이 72.5%로 가장 많고그다음 자녀·친척 지원(14.1%), 정부·사회단체 지원(13.4%) 순이었다.

2011년 이후 본인·배우자 부담과 정부·사회단체 지원은 증가 추세인 반면자녀·친척 지원은 감소하고 있다.

단체활동 참여율 크게 줄어

사회참여 분야 조사에서 우리 사회를 신뢰하는 사람은 55.6%로 2년 전보다 4.7%p 증가했다단체활동 참여율은 35.8%로 2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기부 경험과 향후 기부 의사자원봉사활동 경험 모두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우리 사회를 믿을 수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2년 전보다 4.7%p 증가한 55.6%이 중 4.5%만 매우 믿을 수 있다고 응답했다.

지난 1년 동안 친목·사교취미활동종교단체 등의 단체활동에 참여한 사람은 35.8%로 2년 전 66.1%보다 30.3%p나 줄었다.

지난 1년 동안 기부를 한 적이 있는 비중은 21.6%, 향후 기부 의사가 있는 비중도 37.2%로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기부한 이유는 남을 돕는 것이 행복해서’(28.7%)기부하지 않은 이유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45.8%)가 가장 많았다.

지난 1년 동안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8.4%, 향후 자원봉사 참여 의사가 있는 사람은 25.4%로 2013년 이후 감소 추세다.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이유는 남을 돕는 것이 행복해서’(26.1%)참여하지 않은 이유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46.3%)가 가장 많았다.

19세 이상 인구 중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 또는 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각각 58.8%, 2.7%로 2년 전보다 0.3%p 증가한 반면, ‘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38.5%로 0.6%p 줄었다본인 세대와 자식 세대 모두 계층 상승 가능성이 2년 전보다 증가했다.

희망하는 여가는 역시 관광

여가부문 조사에서 하고 싶은 여가 활동은 관광 활동취미·자기 개발 활동 순이었다국내관광은 39.8%, 해외여행 1.1%로 2년 전보다 각각 29.4%p, 29.3%p 줄었다문화예술·스포츠 현장 관람률은 24.1%로 2년 전의 3분의 수준으로 감소했다레저시설을 이용한 사람은 43.5%로 2년 전의 약 60% 수준으로 줄었고, 13세 이상 인구의 절반 이상은 독서를 하지 않았다.

향후 하고 싶은 여가 활동은 관광 활동(67.7%), 취미·자기 개발 활동(43.3%) 순이었다여가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 10대는 시간 부족, 20대 이상은 경제적 부담이 가장 높았으며특히 60세 이상은 체력이나 건강 문제가 두 번째로 높았다.

지난 1년 동안 국내관광 여행자는 39.8%, 해외여행자는 1.1%로 2년 전보다 각각 29.4%p, 29.3%p 감소했다국내관광은 2년 전의 절반 남짓 수준(57.5%)으로 감소했고해외여행은 2년 전의 3.6% 수준으로 급감했다.

지난 1년 동안 현장에서 문화예술·스포츠를 한 번이라도 관람한 사람은 2년 전보다 42.1%p 감소한 24.1%이고온라인으로 관람한 사람은 5.4%였다.

지난 1년 동안 관광명소산림욕장해수욕장 등의 레저시설을 이용한 사람도 43.5%로 2년 전보다 29.9%p 줄었다.

지난 1년 동안 책을 읽은 사람은 45.6%로 2013년 62.4% 이래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32.1%, “1년 전보다 가구소득 줄었다

가구 소득수준이 여유 있다는 응답은 11.9%로 2년 전보다 1.1%p 증가했다. 1년 전보다 가구 소득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13.1%, 감소했다는 응답은 32.1%였다내년에 가구의 재정상태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소폭 늘었다재정상황 악화시 우선적으로 줄일 지출항목은 외식비의류비식료품비 순이었다.

19세 이상 가구주 중 가구의 한 달 평균 최소 생활비와 비교해 가구의 실제 소득이 여유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11.9%로 2년 전보다 1.1%p 늘었다. 19세 이상 가구주 중 1년 전보다 가구 소득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13.1%, 동일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54.8%,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32.1%였다.

1년 전보다 가구의 부채가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26.2%, 동일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65.2%,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8.6%였다. 19세 이상 가구주 중 내년 가구의 재정상태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2년 전보다 0.1%p 증가한 23.5%였다.

19세 이상 가구주 중 가구의 재정 상황이 악화된다면먼저 외식비를 줄이겠다는 응답이 65.7%로 가장 높고이어 의류비(44.6%), 식료품비(43.5%), 문화·여가비(36.1%) 등의 순이었다.

청소년 선호 직장대기업 1

13~34세 청()년이 선호하는 직장은 대기업공기업국가기관 순이었다여성 취업의 장애 요인은 육아 부담사회적 편견이 꼽혔다. 19세 이상 인구의 절반 정도가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중시했다.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수입(38.7%), 안정성(24.8%), 적성·흥미(13.8%) 순이었다. 13~34세 청()년들이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은 대기업(21.6%)이 가장 많고이어 공기업(21.5%), 국가기관(21.0%) 순이었다.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은 육아 부담(50.5%)이었고이어 사회적 편견(16.3%), 불평등한 근로여건(12.2%) 등으로 나타났다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중시하는 사람과 가정생활을 우선시하는 사람은 2년 전보다 각각 4.0%p, 4.6%p 증가한 반면일을 우선시한다는 사람은 2년 전보다 8.6%p나 줄었다.

임금근로자가 다니는 직장의 전반적인 일자리 만족도는 35.0%로 2년 전 32.3%보다 2.7%p 늘었다.